많은 분이 지친 일상에서 자연과 함께하는 농업에 대한 로망을 갖는다.
실제 2021년 기준 농촌으로 삶의 터전을 전환하는 인구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귀촌으로 30대 이하에 나 홀로 귀촌이 확연하게 늘어나는 추세이며 50대에서 귀농에 인구가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필자는 37살에 귀농하였으며 현재 업을 완전히 전환하여 대한민국 농업에 한 중심에 있다.
이전 경험을 바탕으로 귀농을 하시는 분들에게 실패하지 않고 농업을 유지 하는 방법에 대해 말해 보려고 한다.
대한민국 농업에는 우리가 생각하는 재배업 외에도 정말 다양하다. 한때 붐이 돌았던 6차산업에 농업, 도시농업 지금은 치유농업이 대세이며 또한 6차산업에 농업 안에는 1차 농업인 재배, 2차인 가공, 3차 체험을 더 해 6차 농업을 기본 틀로 발전되고 있다. 필자는 재배부터 가공 체험을 모두 진행하고 있으며 체험 농장을 치유 농장으로 전환하려고 한다.
장황한 글을 쓰게 된 이유는 나에게 맞는 농업을 찾으라는 것이다. 이제 농부는 농사만 짓는 것이 아니라 농산물에 가공을 진행하고 체험장을 운영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농부보다는 한 사업가로 사업을 운영하게 되는 것이다. 모두가 이렇게 한다고 해서 다 이렇게 해야 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필자가 추천하는 농업은 사업가가 되어 운영하는 농업 외에도 자신에게 맞는 농업을 찾아 귀농을 준비하는 것을 추천한다.
보통 귀농하겠다고 결심이 들어서면 많은 정보를 검색하는데 그중 작물의 선택이다. 조그마한 텃밭부터 작물을 심어 보면서 어떤 작물을 재배할지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 이건 순서가 잘못되었다고 지적하고 싶다.
작물에 선택이 우선 되는 것이 아니라 어떤 농업을 할지에 대해 선택해야 한 것이다.
- 작물을 재배하여 농산물 직판장에 납품을 수익을 창출하는 농업
- 작물을 수매하여 수매한 작물을 가지고 가공품을 생산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농업
- 아이템을 가지고 체험을 운영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농업(원예식물, 곤충, 음식, 꽃차, 베이킹, 염색 등을 활용)
- 농촌에 위치한 농업회사법인에 취업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농업
- 재배, 가공, 체험을 동시에 진행하여 소득을 창출하는 농업(6차산업)
- 농촌에 자연을 활용하여 치유와 힐링을 목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농업
- 마을 단위 산업을 진행하며 소득을 창출하는 농업
이 밖에도 무수히 농업을 활용하여 소득을 창출할 수 있다. 여기서 나에게 맞는 농업에 대해 고민이 우선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우선 하얀 종이를 하나 펴서 나만 가지고 있는 장점을 적어 보아라! 당연히 단점도 적어야 할 것이다.
필자에게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다. 농사를 지을 땅을 미리 소유하고 있지를 않았으며 체력적으로 재배를 통한 소득 창출이 힘들었다. 그렇다고 장점 중의 하나인 마음 먹은 일을 쉽게 포기하지 않는 점도 있었으니 지금까지 농업을 지어 왔을 수가 있었다. 이렇게 장단점을 한눈에 살펴보고 나에게 맞는 농업을 선택하여 거기에 집중이 필요하다.
50대 이상의 많은 분은 재배를 통해 농업에 소득을 창출하는 것을 선택한다. 하지만 고된 농사일에 금방 포기하고 다른 업종을 찾아가게 된다. 실제로 귀농·귀촌 교육에서 만남 50대 이상의 분들이 대부분 다른 업종을 선택하거나 귀촌으로 전향한다. 단순한 귀촌에서도 마을에 적응하지 못하고 원래 보금자리로 돌아가는 분들이 대부분이다. 쉽게 포기 한 것은 아니겠지만 오랜 기간 공을 들여 준비한 귀농 귀촌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정말 나에게 맞는 농업을 찾는 것이 우선 되어야 한다.
귀농을 준비하는 대부분에 사람들은 작물 재배에만 고민을 많이 하는 편이다. 필자 생각은 앞서 말한 것처럼 농업 안에서 나에게 맞는 농업을 찾는 것이 먼저라고 꼭 말하고 싶다.
계속하여 농업 관련 포스팅은 이루어질 것이다.
농업 관련하여 온라인으로 교육받는 방법
큰 단점 중 하나였던 땅을 구입하는 방법
체험장을 운영하는 방법
가공품을 생산하는 방법
필자가 두려워하는 사업 계획서를 적는 방법
그동안 많은 검색과 노하우를 여기서 한눈에 보여 주고자 한다.
이 또한 필자가 농업에 종사하면서 농사를 짓는 방법의 하나다.
'귀농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업인 온라인 교육 (0) | 2023.03.07 |
---|---|
청년창업농 귀농 이야기 (0) | 2023.02.24 |